◎ 은혜를 원수로 갚는 일본 독도 침탈 야욕과 우리의 대응
2011.3.31.

30일 일본 정부의 검정을 통과하여 내년 4월 신학기부터 쓰이게 될 중학교 교과서가 12종에 걸쳐 독도가 일본 영토란 왜곡된 주장을 담고 있다고 한다. 더구나 영토 주장뿐만 아니고 한국이 독도를 불법으로 점거하고 있다고 왜곡 기술하며 일본의 영토 야욕을 그대로 들어내고 있다. 정말 안타까운 일이다. 일본의 지진과 해일 피해에 이웃인 우리는 그들의 어려움을 진정으로 돕고 있는데 뒤에 와서 뒤통수를 치는 격이다. 이에 다른 때보다 더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
이제 일본 자연재해 피해 돕기 운동은 그만 중단하자. 그전까지 성금을 모았던 것은 본래 의도대로 전하고 그들이 은혜를 원수로 갚는데 더 계속할 명분도 없다. 이만큼 했으면 가까운 이웃 나라로서 할 만큼 했다고 본다. 주면서 얻어터지는 것은 북한 하나로 충분하다. 일본에까지 똑같이 당할 수 없다. 지진과 해일 그리고 원전사고에 정신이 없을 일본이 독도에 대한 침략야욕을 한치의 흔들림도 없이 계속한다는 것을 우리는 분명히 목격하였다.
독도 문제에 대해 일본이 절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번 일을 통해 확실해졌다. 일본은 점점 다케시마(독도)가 일본 땅이라고 왜곡한 교과서 수를 늘리거나 표현을 강화해 나갈 것이 명확하다. 이제 매년 일본의 교과서 검정 결과를 놓고 일희일비해봐야 소용없고 일본의 독도 분쟁지역화에 말려들어 갈 뿐이다. 그럼 우리와 같이 영토분쟁 중인 러시아는 어떻게 대응하는지 눈여겨보자. 다음은 J 신문 기사 일부다.
'러시아와 일본은 북방영토(쿠릴열도) 문제로 치열하게 대립한다. 하지만, 북방영토를 실효 지배하는 러시아가 일본 교과서의 북방영토 관련 표기를 놓고 '협조 요청'을 하거나 검정 후 항의하는 것을 듣거나 본 적이 없다. 대신 러시아는 단호한 행동으로 보여줬다. 예컨대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이 북방영토를 방문하는 식이다. 간 나오토(菅直人) 총리가 “이건 폭거”라고 핏대를 세웠지만 일 정부는 속수무책이다.'
여기에 힌트가 있다. 한동안 잠잠하다가 매년 일본 교과서 검정 때마다 분노하고 호들갑을 떨며 일본 정부에 항의하거나 단기간 시위하다가 다른 이슈가 생기면 다시 잊어버리곤 하는데 이는 일본의 분쟁지역화와 장기 계획에 의거 차근차근 독도를 침탈하려는 전략에 그대로 말려드는 것이다. 러시아의 영토 분쟁에 대한 대응과 같이 일본의 독도 침탈 야욕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독도의 실효적 지배를 조용하게 그러나 분명하게 확대 강화해 나가는 것이다.
더는 분노하거나 떠들 필요도 없다. 일본 교과서 검정 때마다 항의하고 시위할 필요도 없다. 독도야말로 대한민국 본토에서 시멘트를 공수하여 갔다 부어 실효지배를 단단하게 굳혀야 한다.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독도 방파제 설치, 독도 체험관·홍보관 설치, 종합해양과학기지 구축 등 독도영토관리사업 이외에 차제에 독도를 해양도시로 건설할 것을 제안하다.
바다 위 인공섬에도 해양도시를 건설하는데 독도에다 해양도시 건설하는 것은 불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많은 사람이 독도에서 살아야 실효지배가 용이한데 한 명이 실지 거주하고 군대가 가서 지키고 본적만 옮겨서는 곤란하다. 독도의 종합해양과학기지 확대, 지진, 해일 및 기상 관측과 연구시설 설치, 해저 얼음 가스(하이드레이트) 발굴 생산, 독도에 항공기와 배 접안 시설 확충, 동도와 서도의 다리 연결 등등.
독도에는 풍부한 해양자원이 있고 일본에서 발생하는 지진과 해일 그리고 기상 관측도 필요한 요충지다. 독도를 과학, 관광, 해양 자원 도시로 개발하자. 그리고 일본은 교과서를 왜곡하며 후손에까지 독도 침탈 야욕을 연장하고 있는데 우리 정부의 역사 교과서 필수화는 언제 시행하려는지 정말 답답하다. 독도를 지키려는 의지가 있는 것인지 묻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