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조각 도자기/조각 예술

'06년 달력 '동경(銅鏡)의 美

정의&자유 2005. 12. 26. 00:29

 

'06년 달력 '동경(銅鏡)의 美

2005년 12월 25일


고미술연구소화 석실 취석현을 운영하시는 대곡 이정동님께서 2006년 달력 '동경의 미'를 보내주셨습니다. 감사를 드리며 달력에 올라 있는 동경의 아름다움을 함께 감상하겠습니다.



1월의 동경: 십이지이십팔숙경(十二支二八宿鏡)

고려(17.5cm), 외형은 원형이며 뉴를 중심으로 四神文帶, 다음은 八궤文帶, 
그 다음은 十二支像, 二十八宿畵文帶가 내구에 배열되어 있다.


2월의 동경: 사보화문원형경(四寶花文圓形鏡)


고려(14.1cm), 원형경으로 원뉴에 화문뉴좌로 구성되고 뉴좌 밖으로는 圓圈文을 두른다.
그리고 내구에 四寶花文을 배치하고 시원스런 외구는 無文이다.


3월의 동경: 쌍어문원형경(雙魚文圓形鏡)


고려(13.6cm), 쌍어문경은 내구에 뉴를 둘러싸고 파도문이 장식되었으며 그 가운데에
쌍어가 표현되어 있다. 외구에는 연당초문이 둘러져 있다.


4월의 동경: 황비창천명항해도경(煌丕昌天銘航海圖鏡)

고려(17.4cm), 원뉴에 좁은 연부를 가진 팔능형의 동경이다. 
원형의 뉴를 중심으로 아래 부분에 돛을 단 배와 인물이 보이며 
돛은 뉴의 오른쪽에 바짝 붙어 왼쪽으로 나부끼는 모양이고 
물결무늬와 배위의 인물 등이 섬세하게 표현되었다. 

뉴의 위쪽에 명문판의 방형궤가 없이 [煌丕昌天]이라는 명문이 있다.


5월의 동경: 만자문우입방형경(卍字文隅入方形鏡)


중국(13.6x13.6cm),  연부에는 도톰하게 높이고 모서리를 약간 둥글리면서 깎아내고 있다. 
원뉴를 중심으로 내구에 卍字가 複線으로 그려져 있다.


6월의 동경: 쌍용보화당초문대원형경(雙龍寶花唐草文帶圓形鏡)


고려(26.8cm), 지금 26.8cm의 큰 거울로 원형을 이루며, 꼭지를 꽃잎으로 둘러쌌다. 
내곽에는 용을 두 마리 대칭적으로 양각되었다. 

용이 화염보주를 물려고 달려드는 모습이 날카로운 발톱, 힘찬 머리와 몸의 움직임, 
율동감이 있는 구름무늬를 시문하였는데 모두 12개의 구름이 흐르듯이 장식되어 있다.


7월의 동경: 파상인물문팔화형경(波上人物文八花形鏡)


고려(13.6cm) 八化鏡으로 물결 위에 선인과 한 마리의 용이 瑞氣를 토하는 모습과 
寶塔文이 배치되어 있는데 유물 예는 많지 않다. 

「金石索」에는 宋鏡으로 소개하고 있으나, 河北省 충토의 金鏡으로 보이며 
達摩가 바다를 건너는 .達摩渡海鏡.이라 부르고 있다.


8월의 동경: 쌍봉문원형경(雙鳳文圓形鏡)


고려(15.6cm), 연부가 좁은 원안에 화문뉴좌를 감싸고 쌍봉문이 서로 얽혀 있는데 
봉황은 머리에 장식을 하고 꼬리는 당초문으로 표현하였다.


9월의 동경: 용수전각문원형경(龍樹殿閣文圓形鏡)


고려(21.4cm), 고려동경 가운데 대표적인 동경의 하나로 인정되며 
鏡胎가 두껍고 아래쪽의 물 속에는 꿈틀대는 용이 있고 인물이 있다.


10월의 동경: 국화문병경(菊花文柄鏡)


고려(길이 18.4cm, 너비 11.0cm), 柄鏡은 손잡이가 달린 거울을 말하는데, 
이 동경은 둥근 鏡面에 작은 菊花文을 배치하였고 한 가운데에 
둥근 撞座形의 문양판을 凹面形으로 두었다. 

손잡이는 병부의 아래가 넓어지는 형식으로 자루에 구멍을 내어 매달 수 있게 하였다.


11월의 동경: 연화당초문경(連花唐草文鏡)


고려(15.5cm), 연화뉴좌를 한 줄의 연주무대가 감싸고 
내구는 연화당초문을 테두리 속에 넣고 계권을 두르고, 
외구에 다시 연화당초문대를 배열하였다.


12월의 동경: 서화쌍앵팔릉형경(瑞花雙鶯八稜形鏡)


고려(17.2cm), 외형은 八稜形으로 圓紐안에 화문뉴좌를 가지며 
내구에 雙鶯을 뉴 사이에 배치하고 상.하에 唐花나 瑞花를 두었다. 

내구의 界圈은 외형과 같은 형식으로 팔능형이고 뉴 밖으로 二重의 연주무대를 
둘렀는데 가장자리의 연주문대가 크게 표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