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캡처 자료 사진
♣ 문재인 정부의 우유부단한 안보에 국민은 불안하다 대선 전에도 우익보다 사드 배치에 부정적인 인식을 주었는데 국가 안보를 지키는 대통령이 되어서도 역시 안보에 확실한 신뢰감과 믿음직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해 국민은 불안해하고 있다. 사드 완전 배치를 지연시켜 동맹국을 불편하게 하다가 한미 정상회담 즈음해서는 미국의 의심을 해소하려고 적극적으로 노력했다. 그러나 다시 7월 28일 사드 일반 평가를 하겠다고 발표하여 연내 배치가 힘들 것이 우려되었다. 그런데 북한이 ICBM급 화성-14 미사일을 발사하자 문 대통령은 즉각 잔여 사드 발사대 4기를 배치하라고 했다. 그러나 이것도 상황을 모면하려 했던 것인지 이렇게 심각한 상황에서 대통령이 명령했음에도 아직 잔여 사드 발사대 4기는 배치되지 못하고 있다. 미국은 북한이 발사한 화성-14 현 미사일을 '게임 체인저'로 보고 있다. 지금까지 상황과 다르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한국과 일본에 핵미사일을 발사해도 미국이 자국의 위험을 무릅쓰고 핵우산'을 제공한다는 보장이 없어졌기 때문"이라고 한다. 북한이 서해 5도를 기습 점령한 뒤 남한과 미국에 대해 핵 공격을 위협하면, 미국은 핵전쟁을 감수하면서까지 반격보다 현상 유지를 택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제 원하든 원하지 않든 우리 방어는 우리가 주도적으로 신경 써야 하는 상황이다. 북한이 핵미사일 배치 이전에 서둘러 방어와 핵 균형 유지를 완료해야 한다. 그러나 일본과 달리 문재인 대통령은 휴가를 갔고 휴가 가서도 북 ICBM 발사 후에도 미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 통화 한 번 하지 않았다. 더구나 군은 사드 배치에 대해 계속 미적거리고 있다. 국방부가 지역주민과 함께 사드 레이더에서 나오는 전자파를 측정하려던 계획을 사드 반대 단체들이 이유도 없이 '측정 계획을 철회하라고 주장하자 국방부는 무기력하게 측정 계획을 무기 연기했다. 군은 대통령 사드 배치 명령과 미국이 언제든 배치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다고 함에도 협의해야 한다고 미적거리고, 성주 사드 전자파 측정이 "0"이 나와 반대 이유가 없어졌음에도 무슨 비밀 사항이라며 발표도 하지 않았다. 또 성주 사드 반대 시위대가 청와대로 올라와 시위할 때 성주 사설 검문소가 비어, 발사대를 미군 사드 보관 기지에서 1시간이면 옮길 수 있었는데도 패드 공사를 해야 하느니 하면서 옮기지도 않았다. 8월 2일 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의 사드 잔여 발사대 추가 배치 지시와 관련해 "주민들이 반대해도 설득해가며 배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주민 설득을 어느 정도 기간 거칠지에 대해선 명확하게 하지 않았다. 미국은 '전쟁과 대화' 모든 옵션을 꺼내 들고 북한과 긴박하게 겨루고 있는데 우리는 태평하게 대통령이 휴가나 보내고 있고 방어용 사드는 언제 배치할지 기약조차 없다. 지금까지 경험에 사드 반대 단체들이 찬성할 리가 없다. 참으로 갑갑한 안보 상황이다. 사드 배치를 늦추면서 논란을 길게 가져가자 중국을 놀리는 것도 아니고 중국은 화가 많이 났다. 정작 사드 레이다는 이미 설치가 끝났는데도 발사대 추가 배치에도 중국의 사드 보복이 이제 외교 군사 보복까지 하겠다고 보복의 범위를 확대해 가고 있다. 현 정부는 무엇 때문인지는 몰라도 참으로 어리석은 자충수를 계속 두고 있다. 한국 방어를 할 생각이 있는지 어떻게든 논란이 길어지도록 유도하는 것인지 참으로 한심한 안보 전략이다. 북한이 핵이나 미사일을 발사하면 좌우를 불문하고 모두 죽는다. 정신 차려야 한다. 안보 소홀로 한국을 그냥 핵 보유한 북한에 헌납하려는 것인지 도통 알 수 없다. 적화통일되면 정치인들 김정은 눈치 보느라 지금처럼 대접받지 못한다. 더구나 독재자는 속성상 배신자를 가장 싫어한다. 문 대통령이나 여당 지도자들 처지에서도 대한민국 조국의 안보가 잘 지켜지면 적화통일이 되어 김정은 밑으로 들어가는 것보다 지금처럼 계속 대접도 받고 더 좋을 텐데 왜 그러는지 알 수 없다. 이런 긴박한 상황에 대통령 휴가로 동맹국 정상 간 조율도 늦어지며 코리아 패싱 논란도 일자 이를 불식시키려 한미일 대통령 총리 직속 안보 최고 책임자들이 3일 밤 영상으로 회의를 열었다. 정부가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여론과 안보 상황에 억지로 끌려가는 듯한 문재인 정부 안보 정책에 국민은 매우 불안할 수밖에 없다. 8월 10일 오늘의 소식 8월 11일 오늘의 소식 8월 12일 오늘의 소식 |
'생각하며! > 남북 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는 북 핵미사일 위협 국민 불안 해소해야 (0) | 2017.08.13 |
---|---|
중국에 더는 비굴하게 매달리지 말고 당당하게 대처해야 (0) | 2017.08.08 |
북 핵미사일 레드라인 못 넘게 막아라 (0) | 2017.07.09 |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자꾸 미국 인내심 떠보는 정부 (0) | 2017.06.18 |
남북 대화 과거는 잊고 현재 상황에 맞게 진행해야 성사 가능 (0) | 2017.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