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외치는 통진고녀 2015.11.11.
|
18년 3월 16일 오늘의 소식
세금을 풀기 전에 실패한 경제정책 보완이 우선이다
정부가 청년들의 중소기업 취업을 유도하기 위해 세금을 들여 대기업 수준으로 연봉을 올려주는 대책을 마련했다. 올해부터 4년간 한시적으로 시행되는 이번 대책으로 중소기업에 새로 취업하는 청년들은 매년 1천만 원이 넘는 돈을 지원받는다. 정부는 여기에 드는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4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기로 했다. 야당은 "정부의 엉터리 정책 때문에 일자리가 부족해진 것인데 왜 나라 곳간을 털려 하느냐"며 강하게 반발했다. 자유한국당 김성원 대변인은 "올해 1월 기준 부처 일자리 예산 집행률이 0%인 경우가 수두룩하다"며 본예산을 집행하지도 않고 추경을 편성하는 것은 안 된다고 했다. 바른미래당 김철근 대변인은 "정부가 세금을 내는 일자리가 아니라 세금을 쓰는 일자리를 늘리려 한다"고 비판했다. 정의당도 "올해 예산안이 처리된 지 3개월 만에 추경 얘기가 나온 것은 정부 예산안이 얼마나 허술하고 무책임했는지 보여주는 것"이라고 했다. 일자리를 위해 정부 정책은 사실 전부 엉터리다. 경제 정책을 바로잡을 생각은 안 하고 돈으로 메꾸려고 한다. 공무원 일자리 늘려서 청년 일자리 문제가 해결되었는가? 먼저 실패한 정책임을 자임하고 국민께 사과하는 것이 우선이다. 일시적 자금 지원한다고 청년들이 장기간 중기에 취업할 것인가? 노동자 중심의 정책과 기업가는 적이라는 프레임으로 어떻게 기업이 성장하겠는가? 위축되어 기업이 성장이 정체되거나 축소되면 일자리 또한 정체되거나 축소되는 것은 너무 당연하다. 기업가를 털어서 노동자 소득을 늘려주자는 생각 바꾸지 않으면 힘들다. 근본적 해결은 중소기업 4대 보험과 복지 일하기 좋게 향상시키고 납품대금 약속어음 지급을 단계적으로 현금으로 바꿔야 한다. 납품 단가 책정 시 적정 수준의 가격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가격 인하 요인 없는데도 대기업의 일방적 가격 인하 요구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 등등 모기업과 하청업체가 상생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도 함께 모색되어야 가능할 것이다. 이상 여러 가지 대책이 있으나 가장 중요한 것이 노동의 유연성이다. 세금을 푸는 것보다 이런 대책이 우선이다. 세금만 계속 푼다면 그리스처럼 국가 파산된다.
'생각하며! > 정치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중총궐기 폭력 시위 막아야 한다 (0) | 2015.11.21 |
---|---|
지역구 수 논의하며 국회의원 수 늘리지 마라 (0) | 2015.11.12 |
특정 좌익 단체의 편향된 친일인명사전 학교 배포 논란 (0) | 2015.11.09 |
국정화 확정 고시에 대한 야당의 반박에 대한 재반박 (0) | 2015.11.06 |
한국사 보천보 전투에서 주체사상까지 왜곡 (0) | 2015.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