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캡처 사진
♣ 국가 경제 말아먹는 탈원전 정책 백지화해야 한다 탈원전 정책 선진국은 줄줄이 취소 타산지석 삼아야 정부의 이번 탈원전, LNG 확대 정책을 놓고 에너지 업계에선 우려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다. 독일, 일본, 호주, 대만 등 한국보다 먼저 탈원전, 탈석탄 발전과 신재생 에너지 확대를 추진했던 나라들은 하나같이 전기요금이 급등했다.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탈원전'을 선언하고, 화력, 수력, 지열 발전소를 최대한 활용했다. 이 과정에서 발전비용이 늘어나면서 가정용 전기요금은 평균 25%, 산업용은 38% 급등했다. 결국, 일본 정부는 2015년 원전 가동을 재개하면서 탈원전 발전을 사실상 내려놓았다. 호주는 2005년부터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힘을 쏟았다. 신재생 에너지 발전이 비싸 지난 10년간 가정용 전기 요금이 63% 오르면서 국민 부담이 늘어났다. 결국, 지난 10월 신재생 에너지 확대 전략 포기를 공식 선언했다. 호주에 가보면 선진국임에도 네온사인을 달지 못하고 거리 가로등도 없어 밤에 전체적으로 어둡다. 독일도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터지자 노후 원전 8기 운행을 중단하면서 탈원전에 동참했다. 가정용 전기 요금이 지난해 1kWh당 29.69유로센트로 10년 전 18.32유로센트와 비교해 62% 상승했다. 캐나다 온타리오주 정부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시작한 2008년부터 작년까지 71% 올랐다. 대만도 2016년 탈원전을 선언했다가 지난 8월 대정전 사태를 겪으며 원전 재가동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죄를 짓고 감옥을 들락날락하다가 폐인이 된 사람을 보고 타산지석으로 삼아 나는 그렇게 살면 안 되겠다고 배운다.
친환경을 목적으로 탈원전 정책을 펼쳤던 많은 선진국이 실패하는 것을 보고 타산지석으로 받아들여 그렇게 가면 안 된다고 깨달아야 한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는 어떻게 된 것이 선진국에 이런 사례가 많이 나와 있는데도 불구하고 탈원전을 고집하고 있다. 나중에 얼마나 많은 원성을 살려고 하는 것일까. 탈원전 비용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친환경도 아니다 정부는 17일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신규 설비 투자에 2030년까지 95조~100조 원가량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전체 발전량에서 원전이 차지하는 비중을 현재 30.3%에서 2030년까지 23.9%로 낮추고 그 대신 6.2%인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0%까지 늘릴 계획이며 특히 비용이 많이 드는 태양광과 풍력 비중을 공공과 민간 투자를 합쳐 100조 원가량을 투입하여 88%로 늘릴 방침이다. 하지만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은 날이 흐리거나 바람이 없는 날엔 가동할 수 없어 발전 설비 용량을 58.5GW로 늘려도 실제 평균 이용률은 15%인 8.8GW에 불과하다. 이는 정부가 백지화한 신규 원전 6기의 설비 용량 8.4GW와 비슷하고 신규 원전 건설 비용으로는 25조 원이면 된 것을 억지로 신재생에너지로 하다 보니 100조 원이나 투입한다. 여기에 원전 건설 중단으로 매몰 비용까지 합치면 손실 비용이 더 커진다. 지난해 말 기준 모든 비용을 포함한 발전 단가는 1kWh당 원전은 68원,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은 157원이다. 더구나 태양광, 풍력 이용률이 매우 낮다. 태양광 이용률은 15%(미국 21%, 중국 17%), 풍력 이용률은 23%(미국 49%, 독일 34%, 덴마크 34%)로 낮다. 이용률 떨어진 것을 보완하려면 태양광은 7배, 풍력은 5배로 건설해야 100%에 해당하는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기하급수적으로 비용이 늘어난다. 경제관념이 하나도 없는 초보자 까막눈이 중요한 국가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다. 수학 문제를 푸는데 무서운 아마추어 선생님이 자기 방법이 옳다고 주장하며 틀리게 가르쳤다. 다른 사람이 정답을 알려줘도 가르쳐준 선생님이 무서워 계속 틀린 방식으로 문제를 풀어 계속 틀리는 경우와 똑같다. 국민이 보기에 참으로 답답한 상황이다. 환경 문제도 결코 친환경적이지 않다. 산업부는 안전과 친환경을 앞세워 태양광·풍력발전을 확대하려 하지만 환경부는 "친환경적이지 않다"며 제동을 걸고 있다. 호주 정부는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를 강화하려던 전략을 포기하기로 했다. 국토가 아무리 넓어도(호주 : 세계 6위, 7,741,220㎢, 한국의 77.6배) 순수한 신재생에너지만으로는
전력 수요 충당이 어렵다는 것이 여실히 드러났다. 국토가 적은 한국에서 신재생에너지로 전기 공급을 20%로 확대하겠다는 것은 무리다. 면적이 적은 한국에서 벌써 산림 훼손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후대에 두고두고 역사적으로 욕먹지 않으려면 잘못된 '원전 폐기 정책'은 당장 중단해야 한다. 12월 25일 오늘의 소식 1월 1일 오늘의 소식 2월 27일 오늘의 소식 전북교육청이 엉터리 거짓으로 원자력에 대한 혐오감을 심어주려는 탈핵 보조 교재를 관내 학교들에 배포해 학생을 가르치도록 하고 있다고 한다. '탈핵으로 그려보는 에너지의 미래'라는 120쪽짜리 교재는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대해 '지진과 쓰나미, 핵발전소 사고로 2만 명이 넘는 사상자와 수십만 명의 이재민이 생겼다'고 적고 있다. 당시 사상자들은 대부분 대지진에 뒤이은 쓰나미 때문이었는데도 쓰나미와 원전 사고 피해를 교묘하게 섞어 원전 위험성을 과장한 것이다. 유엔에서 80명의 전문가가 작성한 보고서는 '후쿠시마 방사능으로 사망 또는 심각한 질병에 걸린 사례는 (한 명도) 발견되지 않았다'고 결론 내렸다. 이럼에도 원전과 관련 없는 사망자를 마치 원전 사고로 사망한 것처럼 호도하며 엉터리로 교육하는 것은 마치 소설과 같은 허구를 사실처럼 가르치는 셈이다. 더구나 교제는 후쿠시마에서 250km 떨어진 도쿄마저 오염되어 수백 년이 지속할 것이라고 했는데 어제 오후 도쿄 8개 지역의 방사선 수치는 당일 서울 11개 지점 평균 수치 0.133마이크로시버트보다도 낮은 0.097마이크로시버트였다. 아무리 탈핵을 강조하고 싶어도 자라는 학생들에게 이렇게 엉터리 내용을 가르쳐도 되는가? 전북교육감은 책임 있는 자세로 올바르게 고쳐야 할 것이다.
|
'생각하며! > 정치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치 보복으로 공영방송 장악 중단하고 방송 지배구조 개혁하라 (0) | 2018.01.01 |
---|---|
국가 안보 관련 통치행위를 불법성을 따지는 것이야말로 위법 (0) | 2017.12.29 |
후진적 정치 보복 굿판 끝내고 그만 국가 시스템 개혁해야 (0) | 2017.12.10 |
문 정부 대공 수사 안 하는 것은 핵미사일 앞에 국민 생명 포기 (0) | 2017.12.01 |
문 정권 인사 배제 7대 기준은 면죄부, 기준으로 옳지 않아 (0) | 2017.11.24 |